건국 배경
고려말 원의 간섭 권문세족의 횡포 심함
원나라에서 자란 왕 원나라에서 함께 지내던 신하들과 정치
권문세족(친원파)
토지 빼앗고 백성 노비로 만듬
세금줄고 재정 악화 왕권약화
고려개혁하자는 세력이 나타나기 시작함
신진사대부 등장 -공민왕 개혁정치 지지
-성리학을 바탕으로 개혁
신흥무인세력 등장 -이성계 최영
-홍건적 격퇴
-왜구 격퇴
원나라 쇠퇴후 명나라가 철령 북쪽 고려땅 반환요구(공민왕)
고려장군 최영은 거절
요동지역 원래 고려 영토 -> 요동정벌 ->
이성계 요동정벌 위화도까지 출정
이성계 4불가론
-작은 나라가 큰나라 뜻 거스를수없다
-농사가바쁜 여름철에는 군사 동원할수없다
-왜구가 쳐들어올것이다
-장마철이라 덥고습해 활의 아교가 풀어지고
전염병이 유행하것이다
->위화도회군1388
토지제도 개혁
전시과-모든토지 관리에게 세금 걷을 권리 -> 백성들 과도한 세금으로 궁핍해짐
과전법-관리가 세금 걷는 토지 경기도로 제한
토지 개혁 후 고려의 문제 - 온건파 방법 해결 -정몽주 길재 ->제도 고쳐서 개혁
- 급진파 방법 해결 - 정도전 조준 ->
역성혁명
이성계가 사냥하다 낙마사고 ->
정몽주 이성계일파 제거계획 ->
계획 눈치챈 이방원 ->
이방원 하여가 포섭, 정몽주 단심가 거절 ->
이방원의 자객 -> 선죽교 죽임
1392년 조선건국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 제1차왕자의 난 (0) | 2021.10.21 |
---|---|
조선왕조 정도전 (0) | 2021.10.19 |
조선왕조 태조 이성계 (0) | 2021.10.19 |
조선왕조 태조 이성계 조선 국호와 도읍지 (0) | 2021.10.18 |
조선왕조 시작 (0) | 2021.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