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이야기

조선왕조 9대 왕 성종 이혈

by 타페자라 2021. 12. 3.
성종 이혈
1457~1494
재위 1469~1494

예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 이현이 왕위를 이어야 하지만
나이가 너무 어려 왕위를 잇기에 불가능하였고
20세의 나이로 요절한 세조의 첫째 아들인
의경세자의 첫째 아들인
월산대군 이정이 되어야 하지만 정희왕후 윤 씨와 신숙주 한명회 등의 훈구대신들의 뜻을 따라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이
조선왕조 제9대 왕 성종이 13살의 나이로
즉위한다.

성종 역시 나이가 어려 1469년부터 1476년까지 정희왕후 윤 씨가 어린 성종 대신
섭정으로 수렴첨정한다.
신숙주 한명회 등 원로대신들의 원상으로 정책
결정을 자문하여 참여하여 국정을 좌우하였다
수렴청정과 원상제는 성종의 나이가 어려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1476년 성년이 된 성종은 원상제와
수렴청정이 끝나고 친정을 시작한다.
한명회 신숙주 등 훈구파들을 견제하기 위해
김종직 김굉필 등 사람파를 등용시킨다
교육과 문화 발전에 힘을 기울이며
숭유억불정책을 시행한다

경국대전 반포
-유교적 법치 국가의 기초,
세조 때 편찬 시작 성종 때 완성

사가독서
-젊은 문신들에게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전념하게 하는 제도
-호당 제도 또는 독서당 제도

서적 간행
동국여지승람-지리지
동국통감-역사서
국조오례의-예법
악학궤범-악서(음악서적)

경연 제도 활성화- 학문을 토론 국정을 의논

조선의 통치 제제 완성
문물제도의 정비를 통해 조선 전기의 안정



묘호 성종 능호 선릉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 폐비윤씨 제헌왕후 연산군  (0) 2021.12.11
조선왕조 사림파와 훈구파  (0) 2021.12.04
조선왕조 예종 이황  (0) 2021.11.26
조선왕조 남이장군  (0) 2021.11.24
조선왕조 한명회  (0) 2021.11.21

댓글